<p>일반 분말소화기<span lang="EN-US">·</span>에어로졸식 불가<span lang="EN-US">…</span>반드시 <span lang="EN-US">‘</span>자동차겸용<span lang="EN-US">’</span>으로</p><p></p><p>올해<span lang="EN-US"> 12</span>월<span lang="EN-US"> 1</span>일부터<span lang="EN-US"> 7</span>인승 이상 자동차는 물론<span lang="EN-US"> 5</span>인승 이상 승용차량에도 차량용소화기를 설치 또는 비치해야 한다<span lang="EN-US">.</span></p><p></p><p>소방청은<span lang="EN-US"> 2021</span>년<span lang="EN-US"> 11</span>월에 개정한 <span lang="EN-US">‘</span>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법률<span lang="EN-US">’</span>의<span lang="EN-US"> 3</span>년 유예기간이 경과함에 따라<span lang="EN-US"> 12</span>월에는<span lang="EN-US"> 5</span>인승에도 일반 분말소화기<span lang="EN-US">·</span>에어로졸식이 아닌 <span lang="EN-US">‘</span>자동차겸용<span lang="EN-US">’ </span>소화기를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<span lang="EN-US">.</span></p><p></p><p>한편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자료에 따르면 최근<span lang="EN-US"> 3</span>년간 차량화재는 총<span lang="EN-US"> 1</span>만<span lang="EN-US"> 1398</span>건으로<span lang="EN-US">, </span>연평균<span lang="EN-US"> 3799</span>건이 발생해<span lang="EN-US"> 27</span>명이 숨지고<span lang="EN-US"> 149</span>명이 다치는 등 해마다 화재발생 건수와 사망자가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<span lang="EN-US">.</span></p><p></p><p><span lang="EN-US">119 </span>소방대원들이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 중 건물에 발생한 화재가 차량으로 옮겨 붙은 상황을 가정해 진화 작업을 펼치고 있다<span lang="EN-US">. (ⓒ</span>뉴스<span lang="EN-US">1, </span>무단 전재<span lang="EN-US">-</span>재배포 금지<span lang="EN-US">)</span></p><p></p><p>차량 화재는 승차 정원과 상관없이 엔진 과열 등 기계적 요인과 정비 불량 등 부주의<span lang="EN-US">, </span>교통사고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고 있다<span lang="EN-US">.</span></p><p></p><p>그러나 현행 규정에는 소화기 설치 의무를<span lang="EN-US"> 7</span>인승 이상인 자동차로 제한하고 있어<span lang="EN-US"> 5</span>인승 차량 화재 시에도 신속한 대응을 위해 이번 설치 의무를 확대하게 됐다<span lang="EN-US">.</span></p><p></p><p>관련 개정 규정은<span lang="EN-US"> 12</span>월<span lang="EN-US"> 1</span>일 이후 제작<span lang="EN-US">·</span>수입<span lang="EN-US">·</span>판매하는 자동차와 소유권이 변동되어 자동차관리법 제<span lang="EN-US">6</span>조에 따라 등록된 자동차부터 적용하고 기존 등록된 차량에는 소급 적용 하지 않는다<span lang="EN-US">.</span></p><p></p><p>또한 차량용 소화기의 설치 또는 비치 여부는 자동차관리법 제<span lang="EN-US">43</span>조 제<span lang="EN-US">1</span>항에 따른 자동차 검사 때 확인한다<span lang="EN-US">.</span></p><p></p><p>한편 차량용 소화기는 일반분말소화기의 성능시험뿐만 아니라 진동시험과 고온시험으로 부품이탈<span lang="EN-US">·</span>파손<span lang="EN-US">·</span>변형 등 손상이 없는 것까지 검증된 소화기를 의미하며<span lang="EN-US">, </span>소화기 용기 표면에 <span lang="EN-US">‘</span>자동차 겸용<span lang="EN-US">’ </span>표시가 돼 있다<span lang="EN-US">.</span></p><p></p><p>자동차 겸용 표시가 없는 일반 분말소화기와 에어로졸식 소화용구는 적법한 차량용 소화기가 아니므로 구매 시 유의해야 한다<span lang="EN-US">.</span></p><p></p><p>임원섭 소방청 화재예방국장은 <span lang="EN-US">“</span>차량용 소화기 의무를<span lang="EN-US"> 5</span>인승 이상 승용차량까지 확대한 것은 차량 화재 시 신속한 대응으로 인명피해와 차량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그 취지가 있다<span lang="EN-US">”</span>며 <span lang="EN-US">“</span>본인 차량뿐만 아니라 다른 차량 화재 발생 때 주변의 차량 운전자들로부터 도움을 주거나 받을 수 있어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<span lang="EN-US">”</span>고 전했다<span lang="EN-US">.</span></p><p></p><p>문의<span lang="EN-US"> : </span>소방청 소방분석제도과<span lang="EN-US">(044-205-7522)</span></p><p></p><p><span lang="EN-US">출처 : </span><a href="https://www.gov.kr/portal/ntnadmNews/3826561">5인승 이상 승용차도 ‘차량용소화기’ 의무화…12월 1일부터 | 기관 소식 | 정책·정보 | 정부24</a></p>